오늘은 모션그래픽을 만드는데 필요한 역량 MBT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모션그래픽을 만드는데 필요한 역량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1. 창의성과 상상력
모션그래픽은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기술을 결합한 것입니다. 따라서, 창의성과 상상력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생각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2. 미적 감각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는 시각적인 디자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미적 감각과 디자인 감각이 필요합니다. 색상, 조명, 비례, 대비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조화롭게 결합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기술적 능력
모션그래픽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애니메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술적인 이해와 능력이 필요합니다. 디지털 그래픽스 소프트웨어,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 등을 다룰 수 있어야 하며,
이는 다음에 말할 문제해결 능력에 직렬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4. 문제 해결 능력
모션그래픽 디자이너는 디자인 및 애니메이션 작업 중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빠른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합니다.
아티스트라면 모르겠지만 대다수의 모션 디자이너들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받는 영상제작자입니다. 그 때문에 시간과의 싸움에서 문제 해결 능력은 더욱 빛을 발합니다.
효율적인 작업 방식과 창의적으로 간단하게 문제를 소화해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앞서 말했듯 기술적으로 능력이 뛰어나면 표현의 영역이 넓기 때문에 문제 해결 능력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5. 커뮤니케이션 능력
모션 디자이너는 결국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디자이너입니다. 즉 혼자 작업하는 경우가 잘 없으며, 혼자 해도 결국 클라이언트는 존재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합니다. 팀원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해선 소통이 원활해야 합니다.
6. 인내심과 성실함
모션그래픽 디자인은 작업 시간이 길고, 디테일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내심과 성실함이 필요합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을 들이는 일도 빈번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인내심과 성실함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모션그래픽 제작에 적합한 MBTI를 몇 개 추려봤습니다.
1. INFP
미적 감각이 뛰어나고, 창의성과 상상력이 풍부한 유형입니다. 자신의 독특한 아이디어를 추구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창의적인 측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기획의 측면에서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2. INFJ
미적 감각과 창의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디자인을 통해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모션디자이너에게 중요한 계획적인 성격 또한 강점으로 뽑을 수 있습니다.
3. ENFJ
사람들과의 소통과 조화를 중요시하며, 팀워크를 통해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것을 좋아하는 유형입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팀원들과 공유하며, 함께 작업해나가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ISTP
기술적인 이해와 능력이 뛰어나며, 디지털 그래픽 소프트웨어 등을 다루는 것을 좋아합니다. 문제 해결 능력과 인내심이 높아, 디자인 작업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 MBTI는 개인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를 인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일 뿐, 직업 선택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또한, 모션 디자이너에게 적합한 MBTI는 개인적인 경험과 성향, 능력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럼 블로그 주인 D SWAY는 무슨 MBTI일까?
아쉽게도 저 4개의 항목에는 존재하지 않는 INTJ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INTJ가 모션디자인에서 어떤 강점이 있고 단점이 있는지 써봤습니다.
장점
- 계획과 논리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해 근거와 당위성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설득할 수 있습니다.
- 모션그래픽 프로젝트는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한 만큼 효율적인 워크플로가 중요한데, 이 작업의 효율을 중요시하는 INTJ의 성향이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 기계적인 성격에 어울리게 기술적인 영역을 좋아합니다. 그 때문에 종종 남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점
- 지나치게 논리적인 생각이 창의력을 저하합니다. 논리의 영역은 지식이 바탕이 되는 만큼 본인이 잘 모르는 영역에서 지나치게 길을 헤맬 가능성이 있습니다.
- 논리적이고 계획적인 대화방식이 비교적 창의적이고 추상적인 사람과 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
- 저는 부족한 창의력을 방대한 레퍼런스로 대처합니다. 또한 기술적인 문제 해결방식을 꾸준히 공부합니다. 이는 부족한 창의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소통의 어려움을 논리로 해결합니다. 세세하게 미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저의 대안 방법입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내 성향의 장점
계획적이고 효율을 추구하는 사고방식은 팀 프로젝트에서 매니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창의력을 보완하고, 기술적 능력을 꾸준히 발전시키면 좋은 모션 프로젝트의 관리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모션그래픽에 어울리는 MBIT를 알아봤습니다
물론 본인의 MBTI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저도 없었으니까요...
하지만 본인의 성향 중 하나의 강점은 분명히 있을 것이며, 다른 단점을 보완하려는 의지와 노력만 있다면 충분히 모션디자이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적성과 성향에 대해서 너무 겁먹지 말고 일단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저 또한 조건의 모든 것이 완벽하지 않았으며, 엄청난 재능 같은 건 없었습니다.
하지만 좋아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지속할 수 있었고, 좋아하는 일이기에 무너지고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었습니다.
이상 모션그래픽에 적합한 MBTI를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Motion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션디자이너가 추천하는 에프터이펙트 플러그인 ! (0) | 2023.03.12 |
---|---|
실무 디자이너들이 사용하는 플랫폼 ! (0) | 2023.03.12 |
모션그래픽? 뭐부터 공부해야 해? 그건 바로.. (0) | 2023.03.12 |
모션그래픽 직업의 단점과 장점 ! (0) | 2023.03.12 |
모션 디자이너에 대한 QnA - 역량과 전망 (0) | 2023.03.07 |
댓글